카테고리 없음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드리는 소소한팁

붇옹산님 2021. 8. 2. 12:41

팁1

창업시 모든 물품은 대금의 10%를 더주더라도 반드시 세금계산서를 끊어야됩니다.

첫번째 이유는 조기환급을 하면 다돌려 받지는 못하지만 1/11 이나 1/12 정도로 10% 더 지불한돈의 80%는 다시 회수가 됩니다. 그럼 10% 더 지불한 돈의 20%를 손해 보고 왜 끊어야되냐

두번째 이유는 창업시 5천만원의 세금 계산서를 끊었다면  나의 가게는 -5000만원을 자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놓으면 종합소득세가 200만원 나왔다고 하면

첨부터 -5000이기때문에 거기서 종합소득세를 제합니다. 그럼 향후 창업시 들어간 마이너스 자산이 다없어질때까지 종합소득세 낼일은 없습니다.

팁2

전화.개인전화.전기.가스는 해당없체에 전화해서 사업자로 세금계산서 신청을 합니다 첨에 한번해놓으면 신경쓸거없이 매입자료가 매달 들어 옵니다.

 관리비 수도 건물선비 소장월급 장기수선충당비 같은거는 삼성더원카드쓰면 관리비도 결재 됩니다.(삼성만됨)

카드는 개수 상관없이 홈텍스에 등록해서 쓰면 영수증 없이도 바로 처리가 됩니다.

팁3

2020 현재 사대보험료가 국민연금9%

건강보험6.67% 고용보험 1.6% 산재가 1%~7%입니다. 혼자 100만원의 소득 신고하면 대략 18%인 18 만원을 사대보험료로 내야합니다  직원을 둘경우 사업자 반 직원 반 해서 100만원일경우  9만원을 부담해야됩니다. 

얼핏보기에는 그럼 알바가 있어도 가입시키지말고 혼자 가입해서 작게 내야지 라고생각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 가입하면 더 많은 4대보험료를 내야할수도 있습니다. 이유인즉

혼자 가입하면 지역가입자로 되고 직원이 한명이라도 있으면 직장 가입자로 나옵니다. 직장가입자는 의료보험 기준으로 100만원신고시 6만7천원 정도 낸다면 지역으로 혼자 가입시 신고 한금액이 100만원이라도 재산여부에 따라서 보통 차한대 집한채 있으면 건강보험이 30마넌 정도 나옵니다. 그럼 재산이 전혀 없으면 어떻게하나 라고할수 있는데 그럴땐 지역가입이 유리 합니다.

차한대 집한채 정도 가지고 계신다면 직장 가입이 내는비용이 작습니다.

--------------------------------------------------

도움되셨다니 보람을 느낍니다 ^^

 

이 글은 아프니까사장이다 "뚜일파파"님이 작성해주신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