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앞으로의 요식업 그리고 자영업.

붇옹산님 2021. 7. 8. 08:24

가끔 TV에서 연예인들 해외여행 가는 프로를 보면. 브레이크타임 ,이른시간 영업종료 ,술집도 심야시간 영업안하는 이유가.

 

단순히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그래서 일수도 있지만. 최저시급의 영향으로 그리 변한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식사류 식당의 경우 11~2시 브레이크타임 오후 5~9 마감 .

 

주류 6~12시 운영.( 앞으로 최저시급 및 노동자 권리가 더 향상되면. 5인 이상 사업장처럼 오후 10시 이후 근무시 야간수당을 줘야 될거에요. 그럼 최저시급.+주유수당 *1.5= 시급 만원 기준으로 1.5만 이상이 되겠지요. 

 

그리고 유급휴가 및 연차가 의무화 되면.. 어쩔수 없이 주 5일이나 5.5일 영업을 해야 되고요.

 

일본은 보면 1인 매장 대를이은 가족매장이 많은 이유가 ,아닌가 싶어요.

 

능력안되면 자영업 때려치라는 분들....

 

자영업자가 줄어들면. 불편은 불편데로 격고. 아마 서비스 제화의 질은 떨어지며 가격은 높아질겁니다.

경쟁이 줄어들니 당연 대기업 위주의 배짱장사가 가능해 지겠네요.

 

외국처럼 왠만한 A/S 고장들은 직접 처리해야되며. 10시 이후의 불꺼진 밤거리를 무서워하고 범죄율이 올라갈수도 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처럼 손쉽게 구매가능하고  배달빠르고 서비스좋은 나라가 몇이나 될까요? 이게 단순히 우리나라 자영업자의 인성이

서비스 마인드가 충만하고 좋아서 일까요?

 

다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였고 . 그 경쟁이 줄어들거나 자본력있는 소수에 집중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모든 소비자에게 돌아갈겁니다.

 

최저시급상승이 나쁘단게 아니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이들에게 충격을 흡수할 방안을 주면 좋겠습니다.

 

자영업자 비중이 OECD국가중 높으니 줄여야 된다? 그럼 정확히 몇프로가 되야 좋은걸까요?

나라마다 상황마다 다 달라야 되는거 아닐까요? 무조건 평균보다 높아서 문제다 줄여야 된다.이게 정답일까요?

 

저보다 똑똑하고 많이 배우신분들 많을텐데. 혼자생각 함 써봤습니다. 

 

제 글중에 잘못된점도 있을거고 틀린것도 있을건데. 그런 부분 꼬투리 보다는.. 넓은범위에서 이해하고 해결할 방안을 찾는게 더 생산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글은 아프니까사장이다 "대전 데드리프트"님이 작성해주신 글입니다